반응형
안전사고는 예방이 최고의 방어책입니다. 안전 예방은 안전점검이 우선돼야 합니다. 전기안전, 가스안전, 건물안전, 소방안전의 4개 부문에 안전점검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봅니다.
1. 전기안전 점검 및 예방
1) 전기 제품과 콘세트 주변의 먼지의 먼지 등을 청소 했나요? | 깨끗하게 청소하면 전기 합선으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할 수있읍니다. |
2) 전원 자동 차단용(스위치)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나요? | 전원차단형 멀티탭은 전기사용량이 과다할때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를 예방합니다. |
3) 누전차단기 앞쪽의 황색 또는 적색 버튼을 누르면 손잡이가 내려가나요? | 차단기 손잡이가 내려가지 않으면 누전 시 전기가 차단되지 않아 위험합니다. |
2. 가스 안전 점검
1) 보일러와 가스레인지 등 가스기구 주변에 가스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나요? | 가스 감지기에서 경보가 울리면 재빨리 가스를 잠그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. |
2) 가스 레인지 사용 후 밸브를 잠갔나요? | 밸브를 열어 두면 가스가 샐 수 있으므로 사용 휴에는 꼭 잠가야 합니다. |
3) 배관 이음부 주변에 비눗물을 발랐을 때 거품이 나지않나요요? | 배관 이음부 주변에 비눗물을 발라 거품이 나면 가스가 새고 있다는 신호입니다. |
3. 건물 안전 점검
1) 무너운 물건을 낮은 곳에 배치하였나요? | 지진이 나거나 하면 높은 곳에서 무거운 물건이 떨어져 다칠 수 있습니다. |
2) 건물에서 "딱딱" 하는 소리가 안나고 조용한가요? | 건물에서 나는 "딱딱" 하는 소리는 건물이 손상되어 나는 소리일 수 있습니다. |
3) 창문과 방문을 열고 닫기가 수월한가요? | 창문과 출입문을 여닫기가 어려운 것은건물이 변형되어 문틈이 뒤틀린 것일 수 있습니다. |
4) 승강기 내부에 에 검사 합격 증명서와 비상((연락처가 부착되어 있나요? (승강기가 있는 경우) | 승강기에 검사 합격 증명서와 비상 시 가능한 연락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. |
4. 소방 안전 점검
1) 방과 거실에 단독형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나요? |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단독형 감지기에서 경보가 울려 신속히 대피할 수 있습니다. |
2) 소화기 사용법은 알고 있나요? | 집 안에 소화기가없다면 꼭 구입하여 두시기 바랍니다. |
3) 집에 있는 소화기는 유효 기간(10년) 이내의 것인가요? |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두면 불이 났을 때 초기에 진압할 수 있습니다. |
4) 비상 대피공간 주변에 물건을 쌓아두고 있지 않나요?(공동주택 경우) | 불이 났을 때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공간의 위치를 알아 두고 주변에 물건을 쌓아 놓지 않습니다. |
맺음말
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이 안전사고 예방입니다. 자칫 잠시의 방관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항상 점검하고 확인해야 합니다. 개인의 집은 우선적으로 현재 사는 사람이 관심 깊게 점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겠습니다
내용 출처 :행안부·제천시 배포 리플릿에서 추출
※안전 관련기관정보
구 분 | 관 련 기 관 | 누 리 집 | 전 화 번 호 |
각종재난 안전 정보 | 행정안전부(재난안전포털) | www.safekorea.go.kr | 110 |
생활 속 위험요소신고 | 행정안전부(안전신문고) | www.safetyreport.go.kr(안전신문고 앱설치) | --- |
전기안전관련문의 | 한국전기안전공사 | www.kesco.or.kr | 1588-7500 |
가스안전관련문의 | 한국가스안전공사 | www.kgs.or.kr | 1544-4500 |
건물안전관련문의 | 한국시설안전공사 | www.kistec.or,kr | 055-771-1400 |
소방안전관련문의 | 소방청 | www.nfa.go.kr | 119 |
승강기안전관련문의 | 한국승강기안전공사 | www.koelsa.or.kr | 1566-1277 |
◎관련기관 누리집에서 행동요령 등 다양한 정보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